기업 81% “국가 R&D 지원금 획득 시 인력 충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6 14:14
본문
Download : 090401102449_.jpg
기업당 평균(average) 예상 충원 인원은 대기업이 6.3명으로 중소기업의 3.5명에 비해 큰 규모를 나타냈다. 산업별로는 신입 석박사 인원 비중은 바이오의료기기, 소재 분야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산업수송기계, 로봇 분야는 신입 대졸 인원 비중이 높았다.
순서
레포트 > 기타
우창화 산기평 기술평가본부장은 “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의 지원 목적이 future(미래) 신산업 창출임을 고려할 때 이번 설문조사의 응답기업은 최근 실물경제 침체 속에서도 지속적인 R&D를 수행하려는 의지가 큰 집단으로 볼 수 있다”며 “이번 설문조사를 통해 政府(정부) R&D 지원금이 기업의 신규 R&D 인력 충원을 유도하는 것으로 확인된 만큼 기업의 고용창출을 위해서라도 R&D 지원금이 더욱 확대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 산업수송기계 분야의 경우 정년퇴직 인력 충원 계획이 다른 분야에 비해 다소 높게 나왔는데, 이는 대기업 퇴직 인력을 중소기업들이 흡수, 사업화에 활용하려는 의지로 풀이됐다. 이는 앞서 R&D 인력 충원 계획을 묻는 질문에 392개 기업이 ‘있다’고 대답한 것과 비교했을 때 약 21% 늘어난 수치다. 자체 예산 투입을 통해 R&D에 투자하겠다는 기업이 26.8%로 나타난 것은 실물경제 침체 속에서도 R&D 투자가 매우 절실한 상태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반도체 디스플레이 분야의 경우 처음에는 응답기업 72개 중 약 40%인 29개 기업만이 인력을 충원하겠다고 했으나 政府(정부) R&D 자금 획득 시에는 46%가 증가한 62개 기업(86%)이 인력 충원 계획을 밝혀 政府(정부) 지원금에 따라 고용창출 가능성이 큰 것으로 分析(분석)됐다.
올해 R&D 투자를 계획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자금조달 plan을 조사한 결과 ‘政府(정부)예산으로 R&D에 투자하겠다’는 응답이 66.9%, ‘자체 R&D예산으로 R&D에 투자하겠다’는 응답이 26.8로 조사됐다.
기업 81% “국가 R&D 지원금 획득 시 인력 충원”
산업 분야별로는 로봇·바이오의료기기·산업수송기계·소재·신에너지 및 SW산업 등 신성장산업 분야에서 충원 계획이 있는 기업의 비중이 높은 반면, 반도체 디스플레이·섬유화학 등 장치산업 분야는 현 인원의 유지 또는 감원을 계획하는 기업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설명
기업 81% “국가 R&D 지원금 획득 시 인력 충원”





기업 81% “국가 R&D 지원금 획득 시 인력 충원”
올해 R&D인력 충원 계획을 묻는 질문에는 59%(392개)가 ‘있다’고 응답했으며, 현 인원을 유지할 계획이라는 응답도 36.2%나 됐다. 또, 올해 매출이 전년대비 20% 이상 상승할 것이라고 예측한 기업도 26.5%에 달했다. 이는 R&D투자에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있는 기업의 경우 올해 매출 展望이 매우 긍정적임을 알 수 있다아
국가 연구개발(R&D) 지원금이 기업의 인력 충원에 큰 影響(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한국산업기술평가원이 6일 지식경제부 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 설명(explanation)회 참석자 1124명 중 기업체 소속 응답자 663명을 대상으로 올해 R&D 인력 수급과 매출 증대 展望 조사를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기업의 81%가 R&D 지원금 획득 시 인력 채용을 늘릴 것으로 조사됐다.
Download : 090401102449_.jpg( 78 )
한편, 올해 기업의 매출 展望에 대하여는 전년대비 비슷하거나 상승할 것이라는 展望이 60.3%나 됐다.
서동규기자 dkseo@etnews.co.kr
政府(정부) R&D 자금을 획득할 경우 R&D 인력을 충원하겠다고 응답한 기업은 663개중 537개로 81%에 이른다. 반면, 감원 예정인 기업은 3.5%에 불과해 경제위기에도 대부분의 기업이 R&D 의지가 강한 것으로 파악됐다. 충원 예정 인원 중 고급인력(석박사)의 비중은 대기업이 70%로, 중기업 56%, 소기업 41%보다 높았다.
다. 올해 R&D 인력 충원 계획이 있는 기업의 유형을 보면, 소기업 64%, 중기업 56.9%, 대기업 54.4% 등으로 조사돼 중소기업의 R&D 의지가 매우 큰 것으로 分析(분석)됐다.
기업 81% “국가 R&D 지원금 획득 시 인력 충원”
이에 따라 R&D 인력 충원 의지는 중소기업이 높은 편이나 기업당 충원 인원 수는 대기업이 높으며, 산업 분야별로는 신성장산업 분야에 신입 석박사의 고용창출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