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덕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1 00:11
본문
Download : 창덕궁.hwp
이 다리는 ...
Download : 창덕궁.hwp( 25 )
다.
가. 금천교 돈화문을 들어서서 60미터 정도 북쪽으로 진입하여 오른쪽으로 접어들면 남류하는 개울 위로 금천교가 설치되어 있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다포 구조의 겹처마 팔작 지붕이고 지붕마루는 양성 마루이며 추녀 마루에 잡상 5구와 용두가 설치되고 용마루에는 취두가, 사래 끝에는 토수가 설치되는 점은 돈화문과 같으나 잡상의 수가 돈화문보다 적다. 정전의 대문으로는 조선시대의 궁궐이 모두 인정문과 같은 팔작 지붕이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인정문의 편액(가로 200센티미터, 세로 80센티미터)은 검정 바탕에 흰 글씨로 양각하였고 선조 때의 명필인 북악 이해룡의 글씨라 한다. 현재의 건물은 영조 21년에 건립한 것으로 보고 있으나 지금의 모습은 1912년경에 인정전의 행각을 전시장으로 만들면서 전시장 출입문의 기능으로 바꾸기 위해 벽체와 바닥의 구성이 변형된 것이다.
다. 중앙부의 홍예 기반석 위로는 남쪽 면에는 해태상을, 북쪽 면에는 거북상을 설치하였는데, 이런 장식물이 설치되는 깊은 의미는 확실하지 않지만 사악함을 물리친다는 벽사의 의미와 위엄을 갖추기 위한 치장의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나. 인정문
보물 813호로 태종 5년에 인정전과 같이 창건되고 임진왜란 때에 소실된 것을 광해군 때 중수하였고, 영조 20년(1744)에 소실되었다가 이듬해 3월에 재건된다된다. 인정전
초창 때에 이궁의 법(정)전으로 창건되었다가 임진왜란 때 불에 타고 다른 전각과 함께 1609년에 중건되었었고 지금의 건물은 1804년에 중건된 국보 225호 건물이다. 하천 바닥에 설치된 홍예 기반석 위로 홍예 2틀을 만들고 그 위로 멍엣돌을 걸치고 돌난간을 세우고 다리 윗부분은 장대석으로 깔았다. 이 다리는 ... , 창덕궁생활전문레포트 ,
레포트/생활전문
가. 금천교
돈화문을 들어서서 60미터 정도 북쪽으로 진입하여 오른쪽으로 접어들면 남류하는 개울 위로 금천교가 설치되어 있다 이 다리는 궁궐마다 설치되는 공통적인 건조물이지만 다른 궁에서는 정문에서 들어오는 주방향으로 설치되고 있는 데 비해 여기에서는 직각으로 꺾이어 설치된 점이 다르다. 창덕궁 외전의 중심되는 정전인 인정전은 신하들의 하례식과 외국 사신의 접견 장소로 사용되는 국가 행사…(To be continued )
창덕궁
,생활전문,레포트
순서
가. 금천교
설명






돈화문을 들어서서 60미터 정도 북쪽으로 진입하여 오른쪽으로 접어들면 남류하는 개울 위로 금천교가 설치되어 있다.